티스토리 뷰

728x90
반응형

우선 Yoctor의 사용자 정의 레시피를 빌드하기 위해서 아래 글에서 Yocto 설치 및 설정을 해보자.

라즈베리파이4 Yocto 설치 및 설정

 

목차

  • 라즈베리파이 sd카드 ubuntu에 연결
  • Yocto에서 만든 minimal-dev 레시피를 sd카드에 저장
  • 레시피 용량 확인
  • 라즈베리파이에 SD카드 인식하여 부팅 후 확인

 

라즈베리파이 sd카드 ubuntu에 연결

Yocto 설치 및 설정된 라즈베리파이의 sd카드를 우분투로 인식한 후 df 명령어를 치면 새롭게 인식되는 sd 카드 경로가 있을 것이다./dev 디렉터리 밑에 sdc가 될 수도 있고, sdb 등이 될 수 있다. 잘 확인해보자.

 

ubuntu@ubuntu:/media/ubuntu/rootfs$ df

 

ls -al /dev/sdc*

 

 

ubuntu@ubuntu:/media/ubuntu/rootfs$ ls
//bin  boot  dev  etc  home  lib  lost+found  media  mnt  proc  run  sbin  sys  tmp  usr  var

 

새로운 파일 시스템을 넣기 위해서 기존에 있던 root 디렉터리 밑에 있는 디렉터리들은 lost+found만 남기고 다 삭제하자.

/media/ubuntu/rootfs$ sudo rm -rf bin   dev  home mnt  proc  run   srv  tmp  var boot  etc  lib   media  opt  root  sbin  sys  usr

 

poky/build에서 디렉터리에서 원하는 이미지를 만들어보자. 만드는 방법은 이전에 올린 글에서 확인하면 된다.

core-image-minimal-dev는  개발에 빌표한 최소 이미지

~/pi_bsp/rootfs/Yocto/poky/build : bitbake core-image-minimal-dev

 

Yocto에서 만든 minimal-dev 레시피를 sd카드에 저장

/media/ubuntu/rootfs$ umount /dev/sdc2
cd ~/pi_bsp/rootfs/Yocto/poky/build/tmp/deploy/images/raspberrypi4
~/pi_bsp/rootfs/Yocto/poky/build/tmp/deploy/images/raspberrypi4$ sudo dd if=core-image-minimal-raspberrypi4-20230912093758.rootfs.ext3 of=/dev/sdc2 bs=1M status=progress

 

레시피 용량 확인

다시 sd카드 리더기 재 삽입 후 다시 usb 인식한 후

삽입된 sdb2를 rootfs로 라벨링

~/pi_bsp/rootfs/Yocto/poky/build/tmp/deploy/images/raspberrypi4$ sudo e2label /dev/sdb2 rootfs

 

/media/ubuntu/rootfs/ 로 들어가 디렉터리와 용량을 확인해보니

cd /media/ubuntu/rootfs/
/media/ubuntu/rootfs$ du -h -d 0

 

그러면 파일시스템이 4.8MB 밖에 안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
 

라즈베리파이에 SD카드 인식하여 부팅 후 확인

 

sd카드 ubuntu에 연결하여 부팅하면 우분투에서 레시피를 만들어서 sd카드에 삽입한 파일시스템이 적용되어 있을 것이다.

728x90
반응형
250x250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4   »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
글 보관함